변수 정의하기
다음과 같은 대화를 한다고 하자
Q: 반려동물을 소개해 주세요. A: 우리 집 반려동물은 개인데, 이름이 연탄이예요. 연탄이는 4살이고, 산책을 아주 좋아해요. Q: 연탄이는 수컷인가요? A: 네.

반려동물의 이름을 ‘해피’로 바꾼다고 하면, ‘연탄’이라고 적은 부분을 모두 찾아서 ‘해피’로 바꿔야 한다.
프로그램이 크고 복잡해 진다면 일일이 찾아서 고치기 힘들고 실수로 놓칠 수도 있다.
이럴 때 사용하는 것이 변수
변수
- 어떤 값을 저장하는 공간
- 변수에 값을 저장할 때는 원하는 변수명을 적고 등호(
=
)로 값 대입 - 변수명은 값이 무엇인지 알기 쉽게 짓는다
- Python에서는 등호를 ‘값을 대입한다’는 의미로 사용해서 대입 연산자라고 한다
- 형식: 변수명 = 값
- 반려동물을 소개하는 코드에 변수 작성
- 이름 →
name = “연탄이”
- 반려동물 →
animal = “개”
- 나이 →
age = 4
- 산책 →
hobby = “산책”
- 수컷 →
is_male = True
TypeError
: 문자열은 문자열만 결합 가능한데 숫자를 문자열과 결합해서 오류 발생 → 숫자를 문자열로 형변환 필요+
로 연결할 때는 자료형이 같아야 한다str()
: 자료형을 문자열로 바꾸는 명령어


name = “해피”
,animal = “고양이”
,hobby = “낮잠”
으로 바꿔서 출력- 문자열과 변수를 연결할 때 쉼표(
,
)로도 연결가능 - 형변환 필요없음
- 값과 값 사이에 빈칸을 하나 포함


형변환
- 문자열 변환:
str()
- 정수형 변환:
int()
- 실수형 변환:
float()
→ 소괄호 안에 바꾸려는 값 또는 변수를 넣는다
형변환할 수 없는 값을 넣으면 오류 발생

데이터 자료형 확인
type()
: 데이터의 자료형을 확인하는 명령어- 소괄호 안에 확인하고 싶은 데이터를 넣으면 데이터가 어떤 형태인지 볼 수 있다

주석 사용할 때
- Python은 주석을
#
로 작성한다 #
: 한 줄만 주석처리‘’’ ~~~ ‘’’
: 여러 줄 한꺼번에 주석처리
- 주석 단축키
- 주석 설정:
ctrl
+/
또는ctrl
+k
+c
- macOS의 경우
command
+ / 또는command
+k
+c
- 주석 해제:
ctrl
+/
또는ctrl
+k
+u
- macOS의 경우
command
+/
또는command
+k
+u
실습 문제: 역 이름 출력하기
문제
변수를 사용해 다음 문장 출력
조건
- 변수명은
station
- 값은 변수에 ‘사당, 신도림, 인천공항’ 순으로 저장
- 실행 결과는 다음과 같은 형태
# 변수에 사당 넣었을 때
사당행 열차가 들어오고 있습니다
# 변수에 신도림 넣었을 때
신도림행 열차가 들어오고 있습니다
# 변수에 인천공항 넣었을 때
인천공항행 열차가 들어오고 있습니다
문제 풀기
station = “사당”

station = “신도림”

station = “인천공항”

실습 문제: 배송 상태를 안내하는 프로그램
문제
변수를 사용해 택배의 배송 상태를 안내하는 프로그램 작성
조건
- 변수명은
status
- 값은 변수에 ‘상품 준비, 배송중, 배송 완료’ 순으로 저장
- 실행 결과는 다음과 같은 형태
# 변수에 상품 준비 넣었을 때
주문상태: 상품 준비
# 변수에 배송중 넣었을 때
주문상태: 배송중
# 변수에 배송 완료 넣었을 때
주문상태: 배송 완료
문제 풀기
status = “상품 준비”

status = “배송중”

status = “배송 완료”

Share article