클래스는 상태(변수)와 행위(메서드)를 가진다.
new를 통해 static이 붙지 않은 모든 친구들을 heap에 올린다.(=인스턴스가 된다)
heap에 있는 값을 찾을 때는 참조변수.이름으로 찾는다. (여기서 점은 객체 연결 연산자)
상태는 행위를 통해서 변경된다
캡슐화?
데이터와 함수를 하나의 덩어리(객체)로 묶는 것
서로 관련된 데이터와 알고리즘을 캡슐에 넣어서 보호
객체 = 하나의 캡슐
(ex. 알약 - 성분을 몰라도 방법만 알면 섭취 가능)
파스칼 표기법 (PascalCase)
모든 단어에서 첫 글자를 대문자로 쓰는 방식
클래스명에 명사를 여러 개를 붙여 쓰는 경우에는 각 명사의 첫 글자를 모두 대문자로 표기
카멜 표기법 (CamelCase)
낙타표기법이라고도 함
첫 단어를 제외하고 나머지 단어의 첫 번째 글자만 대문자로 쓰는 방식
get + 첫글자 대문자, 띄어쓰기 대문자
주로 함수나 변수에 사용
함수는 동작을 시키는 명령어 개념이므로 첫 단어가 주로 동사
변수는 형용사로 시작하는 경우도 많다. ex) fastCarId, largeTreeNm
1. 클래스 작성
클래스 (class)
- 객체에 대한 설계도
- 특정한 종류의 객체들을 찍어내는 형틀(template) 또는 청사진(blueprint)
인스턴스 (instance)
- 클래스로부터 만들어지는 각각의 객체
- 특정한 클래스로부터 생성된 객체를 그 클래스의 인스턴스 (instance)라고 함
package ex04;
public class Circle {
public int radius;
public String color;
public double getArea() {
return 3.14 * radius * radius;
}
}
객체 생성
public class CircleTest {
public static void main(String[] args) {
Circle odj;
odj = new Circle();
odj.radius = 100;
odj.color = "blue";
double area = odj.getArea();
System.out.println("원의 면적= " + area);
}
}
Share article